일상 속에서 혹은 뉴스에서 ‘인프라’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셨을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감으로만 대강 알고 있던 ‘인프라’의 정확한 뜻과 종류, 중요한 이유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프라 뜻, 정의와 어원
인프라의 정의
인프라는 영어로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의 줄임말로, 네이버 사전에 따르면 건설 생산이나 생활의 기반을 형성하는 중요한 구조물을 의미합니다. 도로, 항만, 철도, 발전소, 통신 시설 따위의 산업 기반과 학교, 병원, 상·하수 처리 따위의 생활 기반으로 나누어진다는 설명도 덧붙여져 있습니다.
인프라의 어원
이번에는 ‘infrastructure’의 어원과 단어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nfrastructure’는 ‘infra’와 ‘structure’ 두 가지 단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먼저 ‘infra’는 ‘아래에’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structure’는 ‘쌓다’라는 뜻을 가진 ‘struct-’에 명사형 어미 ‘-ure’이 합쳐진 단어로 ‘구조물’, ‘건축물’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이 두 단어가 결합된 ‘infrastructure’는 ‘아래에 쌓인 구조물’로 즉, 사회의 기반을 탄탄하게 받쳐주는 시설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습니다.
인프라 분류 방법
하드 인프라스트럭쳐(Hard Infrastructure)
물리적 시설로서 도로, 철도, 항만, 발전소, 통신망 등이 포함됩니다.
소프트 인프라스트럭쳐(Soft Infrastructure)
비물리적 요소로서 교육, 의료, 법률, 금융 시스템 등 사회적 서비스를 지원하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그레이 인프라(Grey Infrastructure)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구축된 전통적인 인프라로, 도로, 건물, 공장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린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고 인간에게 이익을 주는 녹지 기반의 인프라로, 공원, 녹지대, 산림 등이 포함됩니다.
블루 인프라(Blue Infrastructure)
하천, 강, 호수 등 수자원을 기반으로 한 인프라로, 수질 관리와 홍수 조절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상 속 인프라의 예시 : 인프라 종류 알아보기
교통 인프라
사람과 화물, 물류를 이동시키는 도로, 철도를 포함하여 항공, 해상 운송 그리고 대중교통 등이 있습니다. 교통 인프라는 우리의 출퇴근길부터 여행, 배송까지 책임집니다.
환경 인프라
상·하수도 관리 시설, 폐수 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폐기물 관리 시설, 각종 발전소 등이 있으며, 우리의 위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금융 인프라
금융시장과 금융기관이 원활히 기능하도록 각종 금융규제 및 감독제도, 금융안전망, 지급결제시스템 등을 의미합니다. (출처: 한국은행)
IT 인프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IT 환경을 구성하는 모든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등이 있습니다. (출처: aws)
클라우드 인프라
클라우드 인프라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와 리소스를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인프라는 IT 인프라의 논리적 구성 요소로, 시스템 리소스와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IT 인프라의 기능과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클라우드 인프라는 크게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로 나눌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전용 리소스를 사용해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방식으로, 보안과 제어가 중요한 기업에 적합합니다. 반면, 퍼블릭 클라우드는 Alibaba, Amazon, Google, IBM, Microsoft 등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인프라를 대여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비용 효율성과 유연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와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도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두 가지 환경을 통합해 더 큰 유연성과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클라우드 인프라는 경제 활동을 지원하고, 다양한 IT 서비스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보안 위협
보안 위협은 인프라 보안을 위협하는 요소로, IT 인프라의 성능과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보안 위협은 시스템 리소스와 하드웨어를 공격하며, 경제 활동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플랫폼, 네트워킹 솔루션, 데이터 센터, 서버, 스토리지 등 다양한 구성 요소가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와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 시에도 보안 위협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최신 보안 솔루션과 기술을 도입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유지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IT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고, 경제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인프라를 구분하는 방법과 종류,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프라는 일상과 사회를 받쳐주는 기둥으로 끊임없는 투자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인프라에 따라 집값도 천차만별? 인프라가 중요한 이유
삶의 질을 높여주는 인프라
인프라는 삶의 질을 향상시켜줍니다. 교육, 의료와 같은 기본 사회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다는 의미는 주거지 근처에 학교, 학원, 도서관, 병·의원 시설이 있어 원할 때 언제든지 편하게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지속적으로 거주할 수 있게 되며, 지방에서 서울로의 인구 이동과 같은 지역 이탈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경제활 성장을 촉진시키는 인프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가 인프라에 투자를 하는데요, 이렇게 새로운 인프라를 만드는 과정에서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새롭게 만들어진 시설에서 근무할 직원을 고용하면서 또 일자리가 창출됩니다. 그리고 인프라를 중심으로 여러 기업이 들어오며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킵니다.
오늘은 인프라를 구분하는 방법과 종류, 중요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인프라는 일상과 사회를 받쳐주는 기둥으로 끊임없는 투자와 관리가 필요합니다.